[깃&깃허브 입문] 깃허브로 백업하기
·
Study/git
원격 저장소와 깃허브자신의 컴퓨터에서 작업한 뒤 그 컴퓨터 안에 커밋을 저장하는 저장소를 지역 저장소(local repository)라고 한다.만일 실수로 지역 저장소를 삭제하면 작업했던 내용이 다 사라진다. 그래서 지역 저장소에만 저장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하는 컴퓨터가 아닌 다른 곳에 저장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원격 저장소란깃에서 지역 저장소와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를 연결해서 버전 관리하는 파일들을 쉽게 백업할 수 있다. 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가 아닌 컴퓨터나 서버에 만든 저장소를 말한다.원격 저장소는 지역 저장소와 연결되어 있으면서 백업과 협업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한다면 다름 사람과 협업을 해야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때 원..
[깃&깃허브 입문] 깃과 브랜치
·
Study/git
브랜치란?브랜치(Branch)는 원래 나뭇가지라는 의미이다.버전 관리 시스템에서는 나무가 가지에서 새 줄기를 뻗듯이 여러 갈래로 퍼지는 데이터 흐름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브랜치가 필요한 이유예시)사용 설명서를 만든다고 상상해보자. 이때, 사용 설명서의 버전 관리는 깃으로 한다.제품 출시 전에는 아래 그림처럼 개발 순서에 따라 사용 설명서를 작성하면 된다.그러나 문제는 고객사마다 추가로 요구하는 내용이 다른 것이다. 이를 반영하면 고객사에 따라 제품이 달라질 것이고 이에 맞춰 사용 설명서도 달라져야 한다. 만일 처음에 작성했던 저장소(아래 그림의 master) 전체를 여러 개 복사해서 각 고객사(아래 그림의 apple, google, ms)의 이름을 붙인 다음 저장소마다 버전 관리를 따로 하는 방법이 ..
[깃&깃허브 입문] 깃으로 버전 관리하기
·
Study/git
버전은 깃에서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간단한 메모와 함께 수정 내용을 스냅숏으로 찍어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깃 저장소 만들기저장소를 만들고 싶은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깃을 초기화하면 그때부터 해당 디렉터리에 있는 파일들을 버전 관리할 수 있다.깃 초기화하기 - git init1. 깃 저장소를 만들 디렉터리를 하나 새로 만든다. 홈 디렉터리에 hello-git이라는 디렉터리를 만든 후, cd 명령을 사용하여 hello-git 디렉터리로 이동디렉터리 이름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mkdir hello-git$ cd hello-git2. hello-git 디렉터리 안의 내용을 확인한다. 아무것도 만들지 않았기 때문에 파일은 하나도 없다. '.'인 항목은 현재 디렉터리이고 '..' 인 항목은 상위..
[깃&깃허브 입문] 깃 시작하기
·
Study/git
깃이란?리눅스 창시자인 리누스 토르발스는 2005년에 깃(Git)을 처음 세상에 소개하였습니다.깃으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깃으로는 버전 관리, 백업, 협업을 할 수 있습니다.1. 버전 관리깃을 사용하지 않고 저장을 하는 경우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파일에서 어떤 내용을 수정했는지 기억할 수 없다.반면, 깃은 문서를 수정할 때마다 언제 수정했는지, 어떤 것을 변경했는지 편하고 구체적으로 기록하기 위한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2. 백업하기컴퓨터가 언젠가 고장나는 것은 확실하다. 만일 자료를 컴퓨터에만 저장한다면 언젠가 그 자료가 유실될 것이다. 그래서 백업을 해야한다. 백업은 현재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다른 컴퓨터에 복제하는 것이다. 백업 공간을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중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