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ump-to-Python] 파이썬의 입출력
·
Study/Python
1. 함수믹서에 과일을 넣는다. 그리고 믹서를 사용해서 과일을 갈아 과일 주스를 만든다.=> 입력 : 믹서에 넣는 과일=> 함수 : 믹서=> 출력(결과값) : 과일 주스단, 프로그래밍에서는 입력과 출력이 없을 수 있습니다.1-1.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가치 있는 부분 =>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과값을 돌려준다라는 식의 함수로 작성하는 것이 현명자신이 작성한 프로그램을 기능 단위의 함수로 분리해 놓으면 프로그램 흐름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1-2. 파이썬 함수의 구조def 함수명 (매개변수): return 리턴 값def : 함수를 만들 때 사용되는 예약어매개변수 : input 값수행할 문장 : functionreturn 값 : output# 함수의 기본 구..
[Jump-to-Python] 제어문
·
Study/Python
제어문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존재합니다.1. 조건문 (if문)if문은 조건을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데 사용하는 것입니다.1-1. if문의 기본구조if 조건문: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else: 수행할 문장A 수행할 문장B들여쓰기 (indentation)Tab을 이용하면 됩니다.파이썬은 들여쓰기를 강제로 해야합니다.조건문 다음에 콜론(:)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if문은 왜 필요할까?money = Trueif money: print("택시를 타고 가라") # 택시를 타고 가라else: print("걸어가라")1-2. 조건문이란 무엇인가?if 조건문 :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문장1. 비교연산자 , == , != , >= , # 비교연산자x = 3y = 2print(x > y)..
[Jump-to-Python] 자료형
·
Study/Python
자료형에는 숫자, 문자열, 불, 변수, 리스트, 튜플, 딕셔너리, 집합이 존재합니다.변수는 값을 담을 수 있는 박스를 의미합니다.1. 숫자형정수형 : int (-1, 2, -2)# 정수형a = 123print(a) # 123print(type(a)) # class 'int'실수형 : float (1.24, -34.56)# 실수형a = 1.2print(a) # 1.2print(type(a)) # class 'float'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 (4.24e10, 4.24e-10)#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a = 4.24E10print(a) # 42400000000.0print(type(a)) # class 'float'8진수 (0o37)16진수 (0x7A)# 8진수와 16진수a = 0o10print(a) #..